교육부가 대학입시를 대학에 맡기기로 한 것은 늦었지만 옳은 결정이다. 조기 전면 시행은 아니지만 대학 자율 확대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한다. 이를 계기로 대학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교육의 판이 새로 짜이길 기대한다.
교육부가 어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대입 제도 개선 방안은 학생부·수능 반영 자율화(1단계)-수능 과목 축소(2단계)-대입 완전 자율화(3단계)가 골자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건 3단계 대입 자율화 방안을 수용한 것이다. 대입 업무는 대학 총장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넘겨진다. 지금 중3 학생이 시험을 치르는 2011학년도 대입부터 시행될 공산이 크다.
그간 대입 제도는 수시로 바뀌면서 폐해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학생·학부모들은 늘 아우성이었다. 오죽하면 올 수험생은 3년 내내 죽음의 트라이앵글(수능·내신·논술)이란 섬뜩한 말에 짓눌려 지내야 했겠는가. 내신반영비율까지 규제당하는 대학들로서도 죽을 맛이었다. 이런 대입 혼란은 교육부가 입시를 손에 틀어쥐고 통제한 게 근본 원인이다. 교육부가 대입에서 손을 떼는 쪽으로 방향을 틀기로 한 것은 그래서 더 고무적이다. 입시로 인한 학생·학부모·대학의 고통을 끊을 수 있는 단초가 될 걸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완전한’ 대입 자율화가 실현되길 바란다. 이 당선인은 공약에서 “‘본고사 없이도’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능력과 제도적 기반이 구축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완전 자율화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우리는 본고사 문제를 포함해 3불(본고사·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 정책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게 진정한 대입 자율화라는 입장이다. 본고사 자율화를 하더라도 과거의 수학·영어 집필고사식 본고사를 시행할 무모한 대학은 없다고 본다. 대학을 믿고 맡겨야 한다.
입시 자율화 조치에 대학도 화답해야 한다. 모든 자율에는 책임이 따른다. 대학·학과 특성에 맞는 공정하고 투명한 학생 선발방법을 만드는 게 우선이다.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사회적 반발을 사는 변칙적인 방법은 안 된다. 입시 부정 가능성을 우려하는 국민의 불안감을 씻는 것도 전제다.
대학 경쟁력은 자율에서 나온다. 대입 자율화를 발판 삼아 대학들은 이제 대학의 본질인 교육과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쏟으라. 대학이 입시에 발이 묶여 힘을 낭비하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한다.
교육부가 어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대입 제도 개선 방안은 학생부·수능 반영 자율화(1단계)-수능 과목 축소(2단계)-대입 완전 자율화(3단계)가 골자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건 3단계 대입 자율화 방안을 수용한 것이다. 대입 업무는 대학 총장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넘겨진다. 지금 중3 학생이 시험을 치르는 2011학년도 대입부터 시행될 공산이 크다.
그간 대입 제도는 수시로 바뀌면서 폐해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학생·학부모들은 늘 아우성이었다. 오죽하면 올 수험생은 3년 내내 죽음의 트라이앵글(수능·내신·논술)이란 섬뜩한 말에 짓눌려 지내야 했겠는가. 내신반영비율까지 규제당하는 대학들로서도 죽을 맛이었다. 이런 대입 혼란은 교육부가 입시를 손에 틀어쥐고 통제한 게 근본 원인이다. 교육부가 대입에서 손을 떼는 쪽으로 방향을 틀기로 한 것은 그래서 더 고무적이다. 입시로 인한 학생·학부모·대학의 고통을 끊을 수 있는 단초가 될 걸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완전한’ 대입 자율화가 실현되길 바란다. 이 당선인은 공약에서 “‘본고사 없이도’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능력과 제도적 기반이 구축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완전 자율화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우리는 본고사 문제를 포함해 3불(본고사·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 정책을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게 진정한 대입 자율화라는 입장이다. 본고사 자율화를 하더라도 과거의 수학·영어 집필고사식 본고사를 시행할 무모한 대학은 없다고 본다. 대학을 믿고 맡겨야 한다.
입시 자율화 조치에 대학도 화답해야 한다. 모든 자율에는 책임이 따른다. 대학·학과 특성에 맞는 공정하고 투명한 학생 선발방법을 만드는 게 우선이다.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사회적 반발을 사는 변칙적인 방법은 안 된다. 입시 부정 가능성을 우려하는 국민의 불안감을 씻는 것도 전제다.
대학 경쟁력은 자율에서 나온다. 대입 자율화를 발판 삼아 대학들은 이제 대학의 본질인 교육과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쏟으라. 대학이 입시에 발이 묶여 힘을 낭비하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한다.
'마음의 양식 >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천 화재 참사 (0) | 2008.01.08 |
---|---|
남해안을 지중해처럼 (0) | 2008.01.04 |
유가 100달러 돌파 (0) | 2008.01.03 |
자랑스런 한국인 대상 수상 박근혜 (0) | 2007.12.28 |
삼성 특본해체 (0) | 2007.12.22 |